-
암 치료 위한 방사선량 개발에 전문가 머리 맞대
매체명 커뮤니케이션팀 등록일자 2024-04-22 조회수 813
-
- 한국원자력의학원, 초고선량률 방사선치료 표준 개발 워크숍 개최 -
□ 한국원자력의학원(원장 이진경)은 초고선량률 방사선치료의 방사선량 표준 개발을 위한『국가 측정표준 기반 선량 정밀 측정 및 제어 기술 개발 워크숍』을 22일 개최했다고 밝혔다.
□ 초고선량률 방사선치료는 1초 안에 고강도 방사선을 쏘아 정상세포 손상을 최소화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고, 기존 방사선치료가 잘 듣지 않는 암 치료도 가능한 차세대 암 치료법으로 의학원이 현재 동물 대상 전임상 시험을 진행 중이며, 아직 국내에선 상용화되지 않았다.
※ 초고선량률 방사선치료(FLASH radiotherapy: Ultra-high dose rate radiotherapy): 방사선을 초당 40~500Gy를 조사하며, 일반적인 방사선치료 초당 0.03~0.4Gy에 비해 1000배 이상 빠른 속도로 암 치료 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. 현재 작은 실험동물 대상 치료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나, 실제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생물학적 기전 연구는 초고선량률 방사선조사 시스템이 확보돼야 가능해 유럽이나 미국의 일부 연구기관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임.
□ 이번 워크숍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(NST)의 창의형 융합연구사업 지원을 받아 과기부 정부출연연구기관과 의료기관*의 방사선치료 표준 전문가들이 참여해 환자 치료용 방사선조사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확한 양의 초고선량률 방사선을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방사선량의 측정 소급성 체계**를 확립하고 정밀한 감시·제어 기술 개발을 위해 마련됐다.
* 과기부 정부출연연구기관과 의료기관: 한국표준과학연구원, 한국원자력연구원, 한국원자력의학원, 국립암센터
** 측정 소급성 체계: 연구개발, 산업생산, 시험검사 현장 등에서 측정한 결과가 국가측정표준 또는 국제측정표준과 일치하도록 연속적으로 비교하고 교정하는 체계를 말함.
□ 제1연구동 세미나실에서 개최된 워크숍에서는 ▲초고선량률 방사선치료기 개발 현황(한국원자력의학원 최상현 박사), ▲초고선량률 방사선치료 빔 모니터 박막 태양전지 개발 현황(국립암센터 이세병 박사), ▲초고선량률 방사선치료 물 흡수선량 측정용 흑연 열량계 개발 현황(한국표준과학연구원 김인중 박사), ▲휴대용 열량계를 이용한 초고선량률 양성자빔 조사 실험 현황(한국원자력연구원 이재기 박사) 등 초고선량률 방사선치료 선량 표준 개발 연구성과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.
□ 이번 워크숍 개최로 의학원은 초고선량률 방사선치료 선량 표준개발을 위한 국내외 동향 및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이끌어내 규격화된 초고선량률 방사선치료 선량을 환자 치료에 적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.
□ 이진경 한국원자력의학원장은 “국내외 방사선 장비의 선량 측정 전문기관으로 활약하고 있는 의학원이 첨단 방사선 치료기인 초고선량률 방사선치료기의 선량 표준개발에 나섰다”며, “방사선 품질 강화로 국민들이 보다 정밀하고 안전한 방사선 치료를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”고 말했다.
붙임 1
프로그램
초고선량률 방사선치료 국가 측정표준 기반 선량 정밀 측정 및 제어 기술 개발 워크숍
○ 일 시 : 2024. 4.22(월) 13:30∼17:00
○ 장 소 : 방사선의학연구소 제1연구동 세미나실
시 간
내 용
발 표 자
13:30~13:50
Flash 방사선 치료기 개발 현황
최 상 현
(한국원자력의학원)
13:50~14:10
Thin Film Solar Cells as Beam Monitors in Ultra-High Dose Rate Proton/Electron Radiotherapy
이 세 병
(국립암센터)
14:10~14:30
Flash 방사선 제어 및 픽셀형 이온챔버
모니터 시스템 개발 및 실험
장 영 재
(한국원자력의학원)
14:30~14:50
기념 촬영 및 Coffe break
14:50~15:10
Measurements of Flash RT electron beam using alanine and film dosimeters: Results with KIRAMS
박 종 인
(한국표준과학연구원)
15:10~15:30
Flash RT 물 흡수선량 측정용
KRISS 흑연 열량계 개발 현황
김 인 중
(한국표준과학연구원)
15:30~15:50
Experiment on high-dose-rate proton beam irradiation using portable calorimeters
이 재 기
(한국원자력연구원)
15:50~16:00
Coffee break
16:00~16:20
Biochemical analysis of cellular responses
to DNA damage in human cells
최 준 혁
(한국표준과학연구원)
16:20~16:40
전체 토의
붙임 2
사 진
▲ 워크숍 참석자 기념 촬영
▲ 워크숍 현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