방사선 건강영향 평가 연구
- 방사선작업종사자 대상 코호트 구축 및 건강영향 추적 평가
- 종사자 내부피폭 측정 및 신체 장기선량 산출
- 역학-생물학 융합 연구 기반 저선량방사선 건강영향 평가 불확도 개선
-
직업방사선 노출자료
종사자코호트 설문조사자료
장기선량 산출
-
장기선량산출
과거피폭 선량재구축
개인피폭 선량자료
-
의료, 생체영향 정보수집·연계
암발생 정보
암 이외의 질병 정보
사망원인 통계 정보
생체 생리 반응 정보
-
자료분석
작업성 피폭 위험도 산출 및
위험 요인 평가
피폭선량 평가 연구
- 방사능 오염 및 선량 측정 기술 개선 및 선량평가 불확도 개선
- 물리적, 생물학적 선량평가를 포함한 다중생체선량평가(Multi-biodose) 시스템 개발
- 방사선 비상 시 일관되고 정확한 오염 측정을 위한 지침 개발
-
Virtual Calibration for internal dosimetry 내부피폭 선량평가를 위한 전산모사 기반 교정
-
EPR, TL/OSL dosimetry for
external dosimetry EPR, TL/OSL 기반 사후선량평가 기술 -
Monte Carlo simulation based
dosimetry 몬테칼로 전산모사 기반 선량평가 -
Automated
biodosimetry technology 생물학적 선량평가 자동화 분석 기술
신속 및 정밀 진단
첨단 재생 의료기술
표적기반 혁신 신약
최종수정일 : 2016/12/25
-
현재 페이지의 화면이 이해하기 쉽게 구성되어 사용하기에 편리합니까?
-
현재 페이지에서 원하는 기능이 충분히 제공되었습니까?
-
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를 쉽게 찾을 수 있었습니까?